사진갤러리/풍산홍씨선조님 저서

복수쌍회(福壽雙會)-19世祖 홍석주

홍만식(뜸부기) 2018. 8. 23. 18:31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홍석주(, 1774년∼1842년)가  陳繼儒本과 闞應析本『福壽全書』에서 균형 있게 조목들을 선별하여 각각 내편과 외편으로 편집하였고, 책의 뒷부분에는 善書의 한 형식인 功過格을 수록해 놓고, 외편에는 功過格에 해당되는 글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2권 1책. 목활자본. 장서각 소장

본관은 풍산. 초명은 호기. 자는 성백, 호는 연천. 별호 백악산초(白鶴山樵)  

조부는 영의정 홍낙성()이며, 부는 우부승지 홍인모()이고, 약관에 모시()·경례()·자사()·육예백가()의 글을 모두 읽어 일가를 이루었고, 한번 읽은 글은 평생 기억할 정도로 총명해 동료들이 감탄하였다. 

1795년 전강에서 수석을 하여 직부전시의 특전을 받았고, 그해 문과에 급제하여 직장·검열 등을 역임하고 1802년 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후 성천부사·이조참의·병조참판·충청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양관대제학·이조판서를 역임했다.

1834년에는 좌의정으로 세손의 사부가 되어 헌종과 인연을 맺었고, 안동김씨 세력의 주변적 신료로서 세도정국에 참여했고 순조가 사후 풍양조씨와 세력을 다투어 안동김씨 세도정권의 일익을 담당했다.

1836년 남응중의 모반에 연루되어 김로(金路)의 탄핵을 받고 삭직되었다가 1839년 복직하여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학통상으로 노론 계열인 김창협(金昌協)·김원행(金元行)을 이었으며,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고염무(顧炎武)의 학문에 영향을 받았고, 실학·무실을 주안으로 하는 박학을 강조했으나, 고증학에서 의리를 뒤로 미루는 것은 폐단이라고 비판하면서 주자학의 원칙을 지켜야 함을 주장했다.

주자학설의 인식방법에서도 현상을 통해 본질을 추구한다는 역추·추리의 방법을 취했다.

특히 〈상서 尙書〉 연구에 힘을 기울여 성선설과 인물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군주와 소인이 선험적으로 구분된다는 인간론을 강조했고, 이런 논리 위에서 봉건사회의 위기상황도 기존의

세력권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부분적인 제도의 변통 및 능력 본위의 신료 선발로 해결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신권중심정치론으로 나타났다.


善書는 儒佛禪 三敎統合에 입각하여 忠孝 등의 유가적 덕목을 권장하고 자기 규율 속에서 善行을 쌓음으로써 큰 福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 善書가 널리 간행 보급되는 상황 속에서 洪奭周는 『福壽全書』이본 2종을 취사선택하여『福壽雙會』 라는 선서를 직접 편찬하였다.
세상에 전하는『福壽書』는 두 가지 이본이 있는데, 모두 명나라 말기 사람이 지은 것이며, 그 뜻은 선을 행할 것을 권하는 것인데, 그 가리키는 내용이 천근하고 분명하여서 백성들에게 더욱

적합하였다.

비록 그 말들 속에 순정하지 못한 것이 있지만, 그 귀결은 어진 사람에게 가까운 것이 있다.
홍석주는 袁黃의 功過格과 陳繼儒의『福壽全書』가 비록 異端 사상을 담고 있지만, 勸善懲惡의 윤리 덕목을 서민들에게 권장하고 독려하는 데 보탬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일정 정도

수용하였다.

考證學의 無用性을 여러 차례 지적하였던 洪奭周는 주자학의 말폐적 현상, 예컨대 이기심성 위주의 공소한 이론 논쟁, 비실용적 학문 태도, 관념적 추상적 성향 등에 대해서 현재의 사상적

위기를 초래하는 하나의 원인을 제공하였다고 비판하였다.

이 점에서 그는 종래 異端으로 배척되었던 善書의 가치를 일정 정도 긍정하였으며, 그 자신이 직접 明代에 간행된『福壽全書』 兩本을 선별, 취합하여 『福壽雙會』를 편집하였던 것이다.

이 책의 성격에 대해 홍석주는 주된 내용이 善을 권장하여 어진 사람으로 인도하는 데에 있고 그 뜻이 切實하고 淺近하여 일반 백성들에게 적합하다고 평하였다.

이같은 洪奭周의 인식은 크게 보아 조선 후기 유교 도덕의 通俗化, 世俗化라는 흐름과 연관지어 살펴야 할 것이다. 

홍석주가 편찬한 『福壽雙會』는 善書로서의 측면에서도 주목해야 할 뿐만 아니라,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내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중국 판본으로 오해되거나 편찬자의 이름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善書로서의『福壽雙會』가 지닌 성격을 잘 보여주는 실례를 하나 들어본다.

饒州의 富民 殷二十八이 있었다. 소흥 연간 정묘년에 큰 가뭄이 들어 유민들이 길에 가득했다.

殷卄八은 여러 창고에 곡식을 보관해 두고는 문을 닫은채 곡식을 꾸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하루는 집안 사람과 물가의 오르내림을 따지고 있었는데, 갑자기 하늘에서 비가 내려고 어두워지더니 벼락불이 집에 가득했다.

단입팔은 벼락에 맞았고, 집안 사람이 창고를 열어 쌓아놓은 곡식을 구하려 했지만 불에 다 타버렸다.

상업 활동으로 크게 부자가 된 殷卄八이 악행을 행하였다가 천벌을 받는 이 이야기는 19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善書인『太上感應篇圖說諺解』 에도 수록되어 있다.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