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노론 계열 문신 학자인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 1774년∼1842년)가 지은 『노자(老子)』 주석서.
일본 오사카 부립 나카노시마 도서관 소장. 2권 1책으로 이루어진 단행본, 필사본(전용 인찰공책지).
본관은 풍산. 초명은 호기. 자는 성백, 호는 연천. 별호 백악산초(白鶴山樵) 조부는 영의정 홍낙성(洪樂性)이며, 부는 우부승지 홍인모(洪仁謨)이고,
약관에 모시(毛詩)·경례(經禮)·자사(子史)·육예백가(六藝百家)의 글을 모두 읽어 일가를 이루었고, 한번 읽은 글은 평생 기억할 정도로 총명해 동료들이 감탄하였다.
1795년 전강에서 수석을 하여 직부전시의 특전을 받았고, 그해 문과에 급제하여 직장·검열 등을 역임하고 1802년 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후 성천부사·이조참의·병조참판·충청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양관대제학·이조판서를 역임했다.
1834년에는 좌의정으로 세손의 사부가 되어 헌종과 인연을 맺었고, 안동김씨 세력의 주변적 신료로서 세도정국에 참여했고 순조가 사후 풍양조씨와 세력을
다투어 안동김씨 세도정권의 일익을 담당했다.
1836년 남응중의 모반에 연루되어 김로(金路)의 탄핵을 받고 삭직되었다가 1839년 복직하여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학통상으로 노론 계열인 김창협(金昌協)·김원행(金元行)을 이었으며,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고염무(顧炎武)의 학문에 영향을 받았고, 실학·무실을 주안으로 하는
박학을 강조했으나, 고증학에서 의리를 뒤로 미루는 것은 폐단이라고 비판하면서 주자학의 원칙을 지켜야 함을 주장했다.
주자학설의 인식방법에서도 현상을 통해 본질을 추구한다는 역추·추리의 방법을 취했다.
특히 〈상서 尙書〉 연구에 힘을 기울여 성선설과 인물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군주와 소인이 선험적으로 구분된다는 인간론을 강조했고, 이런 논리 위에서
봉건사회의 위기상황도 기존의 세력권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부분적인 제도의 변통 및 능력 본위의 신료 선발로 해결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신권중심정치론으로 나타났다.
「정로 권상(訂老卷上)」과 「정로 권하(訂老卷下)」로 구성되어 있고, 서문에 해당하는 「정로제(訂老題)」가 있다.
「정로 권상」은 『노자』 왕필본의 1-37장까지를, 「정로 권하」는 38-81장까지를 구분하여 주석하고 있다.
『노자』 원문을 각각 편장(篇章)으로 나누어 이름을 붙이지는 않았지만, 각 원문에 따라 홍석주의 주석이 붙어있다.
『정로』의 『노자』 원문은 원(元)나라 오징(吳澄, 1249-1333)의 『도덕진경주(道德眞經註)』를 주요 판본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정로』에서 30번에 걸쳐 오징의 『도덕진경주』를 인용하였고, 68장 체제로 구성된 『도덕진경주』와 달리, 81장 체제를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81장 체제에서 23장·24장·25장 순서가 24장·25장·23장 순서로 연결되는 차이를 보인다.
『정로』에 인용된 서적은 34종 이상이다. 여기에는 제자서 및 역사서, 『노자』 주석서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사서삼경과 성리학으로 대표되는 유가 서적이 압도적으로 많다.
『논어』·『맹자』·『대학』·『중용』·『시경』·『서경』·『역경』·『좌전』·『예기』·『의례』·『주례』·『태극도설』·『주자어류』·『주희집』·『근사록』·『문선』·『당송팔가문』·
『전국책』·『안자춘추』·『사기』·『송사』·『관자』·『한비자』·『손자병법』·『장자』·『주역참동계』·『통현진경』·『노자품절』·『도덕진경주』·『노자해』·『노자주』,
그리고 불경 등이 인용되었다.
『정로』에서 '정(訂)'이란 '바로잡는다[正]'는 의미이고, '로(老)'는 『노자』를 말한다.
그는 『노자』의 근본 취지를 세 가지로 파악하였다. 1. 욕심을 줄임으로써 정신적 작용을 기른다[寡慾以養神]. 2. 다투지 않음으로써 세상에 응대한다[不爭以應世]. 3. 일을 줄이고 살육을 제거함으로써 백성을 다스린다[省事去殺以治民].
그런데 이와 같은 근본취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세상에는 『노자』를 오해하는 여섯 가지 유형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법가인 형명(刑名), 병가(兵家), 도교 금단(金丹), 인륜을 저버리고 세상을 등지는 절속(絶俗), 죽림칠현과 같은 방탕한 데 빠져 거리낌이 없음[猖狂倨傲],
도교 재초부록(再醮符籙) 등이 오해의 구체적인 모습들이다.
홍석주는 "이러한 오해들은 모두 말할 거리도 못된다. 우리 유학자들이 또 저러한 이해방식으로 노자를 공격하는 경우가 있으니, 노자로부터 비웃음을 사지
않기가 어려울 것이다"라고 하였다.
홍석주는 "노자의 본래 취지를 세상에 밝히고, 그 다음에 성인의 말씀과 합치되는 것은 스승으로 삼을 수 있고 합치되지 않는 것은 부분은 변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직접 이 글을 써서 바로잡으니, 대개 노자를 바로잡은 것은 1/10이고, 세상에서 노자를 오해한 것을 바로잡은 것이 9/10이다[余謂老氏之本旨明於世, 而後其合於聖人者可師, 而其不合者亦可辨. 於是, 手爲是書, 以正之, 盖正老氏者什一, 正世之不知老氏者什九云.]"라고 하였다.
이처럼 『노자』 자체에 바로잡아야 할 문제점도 일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주목한 것은 『노자』에서 스승으로 삼을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이었다.
홍석주는 『노자』의 도(道)를 『주역(周易)』·『중용(中庸)』의 도와 성리학의 리(理)와 연계하여 이해한다.
홍석주는 『노자』 1장의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常道)" 주석에서 "도는 자연이다[道者, 自然而已矣]"라고 명시적으로 밝힌다.
아울러 그는 자연(自然, 저절로 그러한 것)을 '영구하여 변질되지 않는 것[久而不變]', '항상된 것[常]'이라고 정의한다.
도가(道家) 계열의 『노자』 이해와 달리, 홍석주의 『정로』에서 발견되는 특이한 부분은 '영구하여 변질되지 않는' 자연의 도를 두 가지로 해석한다는 점이다.
하나는 천지자연의 입장에서 이해한 도, 즉 하늘이 높고 땅이 두텁고 해와 달이 빛나고 산악이 우뚝 솟아있고 강이 흘러가는 것과 같은 자연지도를 말한다.
다른 하나는 인간의 입장에서 이해한 도, 즉 부자군신부부에서 통용되는 마땅히 행해야 하고 영원히 바뀔 수 없는 인륜지도를 말한다[久而不變者, 惟自然之道, 如天之高, 地之厚, 日月之明, 山岳江河之峙且流, 在人則父子君臣夫婦之倫, 亙萬古而不可易, 皆惟自然而已. 是所謂常也.]
도에 대한 이상의 이해에 바탕한 뒤, 홍석주는 "노자의 말은 비록 고원한 것 같으나, 사실은 두 가지를 말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곧 사람을 내적인 측면에서는 청정함으로 욕심을 줄이게 하고, 외적인 측면에서는 겸손하고 부드러움으로써 자신을 남보다 낮추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어찌 알기 어렵고 행하기 어려운 것이겠는가? 이 두 가지 일이 진실로 오천언의 종지로, 천하 온갖 일의 핵심이다.
[老子之言, 雖若高遠微玅者, 其實不過二端, 欲使人內淸靜而寡慾,
外謙柔以下人而已. 此豈有難知且難行哉? 蓋此二端者, 寔五千言之宗, 而天下萬事之君也.]"(70장 주석)라고 하였다.
나아가 『노자』의 정치론의 핵심적 주장인 무위(無爲)를 유가의 정치론과 다르지 않다고 역설한다.
"『노자』의 '내가 무위하니 백성들이 저절로 교화된다(我無爲而民自化)'를 포함한 네 구절은 『논어』「위정(爲政)」'덕으로 정치를 행한다'와,
『중용』33장의 '공경을 독실히 하여 천하가 태평해졌다'는 의미이다.[我無爲以下四句, 卽論語爲政以德, 中庸篤恭而天下平之意.]"(57장)라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노자』의 대부분은 유가 성인의 말씀과 같이 스승으로 삼아야 할 부분이다.
이에 비해 유가의 평정(平正)함과 달리, 『노자』의 도(道)·무(無)와 같은 개념이 변하여 이단으로 빠진 것들은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결국 홍석주는 『노자』의 미흡한 부분에 얽매여 이단으로 치부하는 데서 벗어나, 『노자』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붕당정치의 폐해와 서학의
범람에 직면했던 당시 현실의 문제를 해소하려 한 것으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