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일사(辛酉日史)-19世祖홍한주 『신유일사(辛酉日史)』 필사본 1책은 홍한주(洪翰周, 1798-1868)가 쓴 신유년(1861. 철종12)의 일기로, 홍한주는 일기를 1년 단위로 1책씩 묶어서 제목을 붙이고 책으로 만들었고, 그 가운데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미국버클리대학 동아시아도서관에 3책이 소장되어 있다. 책 표지 우측 상단에 ‘.. 사진갤러리/풍산홍씨선조님 저서 2018.08.20
오그녹스 왈-징기스칸의 성 징기스칸의 성이다. 많지않은 부족과 삶을 유지하려 했던 고심이 보인다. 안내판을 보았으나 안보는게 훨신 잘하는것 같다. 사진갤러리/여행 2018.08.18
유목민집에서 하룻밤을 바트쉬레트의 유목민집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아이들과 앉아있는 사람은 총각이다. 조카들과 잠시 휴식을 취하며 간간이 쌍안경으로 소떼를 관찰한다. 올해에 좋은 혼처가 나와서 행복한 결혼생활이 되길 빌어본다. 사진갤러리/여행 2018.08.18
데능벌떠크-징기스칸 탄생지 징기스칸이 태어난곳 데능벌떠크 세기의 영웅탄생지의 기념비치고 너무 소박하다. 왼쪽으로 세바퀴를 돌면서 곡식을 공물로 바친다. 사진갤러리/여행 2018.08.18
어르헝강 다달솜으로 가는도중에 어르헝강이 있다. 뗏목같은 부교에 차량과 사람을 싣고 도강하여 준댓가로15,000투그릭(한화 6,000원)을 받는다. 아버지와 아들이 온힘을 다해 건너준다. 참으로 좋은 직업이다. 아들과 늘 함께 지내며 살고 있으니 말이다. 사진갤러리/여행 2018.08.18
징기스칸의 샘물 징기스칸 탄생후 목욕한 냉천이다. 몽골의 최고법전-징기스칸의 대자사크 제4조: 물과 재에 오줌을 눈 자는 사형에 처한다. 제14조 : 물에 직접 손을 담가서는 안된다.물을 쓸때에는 반듯이 그릇에 담아야 한다. 제15조 : 옷이 완전히 너덜너덜 해지기 전에 빨래를 해선 안된다... 여행전에 .. 사진갤러리/여행 2018.08.18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18世祖 홍석모 조선 후기 학자 홍석모(洪錫謨, 1781년~1850년)의 저서로 필사본으로 전해지던 것을 1911년 崔南善이 朝鮮光文會판으로 金邁淳의 <열양세시기> 柳得恭의 <京都雜誌>와 합본하여 발행. 중국 종늠의 <荊楚歲時記>를 모방하여 쓴 책으로 조선의 연중행사. 세시풍속에 관한 것을 그 .. 사진갤러리/풍산홍씨선조님 저서 2018.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