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문신 홍석주(洪奭周, 1774년~1842년)의 詩文集으로 外孫子 韓章錫이 엮은 것으로, 원래는 原集 41券, 別集附錄 45券,
合 86券이던 것을 1876년에 다시 刪定하여 44券 20책으로 편집했다. 44권 20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본관은 풍산. 초명은 호기. 자는 성백, 호는 연천.
조부는 영의정 홍낙성(洪樂性)이며, 부는 우부승지 홍인모(洪仁謨)이고, 약관에 모시(毛詩)·경례(經禮)·자사(子史)·육예백가(六藝百家)의 글을 모두 읽어
일가를 이루었고, 한번 읽은 글은 평생 기억할 정도로 총명해 동료들이 감탄하였다.
1795년 전강에서 수석을 하여 직부전시의 특전을 받았고, 그해 문과에 급제하여 직장·검열 등을 역임하고 1802년 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후 성천부사·이조참의·병조참판·충청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양관대제학·이조판서를 역임했다.
1834년에는 좌의정으로서 세손의 사부가 되어 헌종과 인연을 맺었고, 안동김씨 세력의 주변적 신료로서 세도정국에 참여했고 순조가 죽은 후
풍양조씨와 세력을 다투어 안동김씨 세도정권의 일익을 담당했다.
1836년(헌종 2) 남응중의 모반에 연루되어 김로(金路)의 탄핵을 받고 삭직되었다가 1839년 복직하여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학통상으로 노론 낙론 계열인 김창협(金昌協)·김원행(金元行)을 이었으며,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고염무(顧炎武)의 학문에 영향을 받았고,
실학·무실을 주안으로 하는 박학을 강조했으나, 고증학에서 의리를 뒤로 미루는 것은 폐단이라고 비판하면서 주자학의 원칙을 지켜야 함을 주장했다.
주자학설의 인식방법에서도 현상을 통해 본질을 추구한다는 역추·추리의 방법을 취했다.
특히 〈상서 尙書〉 연구에 힘을 기울여 성선설과 인물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군주와 소인이 선험적으로 구분된다는 인간론을 강조했고, 이런 논리 위에서
봉건사회의 위기상황도 기존의 세력권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부분적인 제도의 변통 및 능력 본위의 신료 선발로 해결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신권중심정치론으로 나타났다.
권두에 산서목록(散書目錄)이 있어 본집에서 빠졌거나 산일(散佚)된 저술들을 기록하고 있다.
권1에서 부(賦) 7편, 가조(歌操) 2편, 시 170여 수, 권2∼4는 시 600여 수, 권5는 시 80여 수, 소차(疏箚) 6편, 권6∼8은 소차 53편, 권9는 계(啓) 21편이 실려 있다.
권10은 계 24편, 의(議) 2편, 전(箋) 14편, 권11은 응제문(應製文) 45편, 권12는 응시문(應試文) 9편, 고사(故事) 1편, 권13∼15는 초계고식(抄啓故寔)으로 대학십조(大學十條), 대학앙질오조(大學仰質五條), 주자대전어류삼십조(朱子大全語類三十條), 주자대전어류앙질 11조, 국조고사십오조(國朝故事十五條) 등 5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6·17은 서(書) 23편, 척독(尺牘) 6편, 권18·19는 서(序) 46편, 기(記) 29편, 권20·21에는 전(傳) 3편, 제발(題跋) 52편, 권22는 송(頌) 2편, 잠(箴) 2편, 명(銘) 3편, 찬(贊) 7편, 상량문 2편, 권23에는 진향문(進香文) 2편, 제문 31편, 애사(哀辭) 5편이 있다.
권24·25는 잡저로 35편, 권26·27은 비명 5편, 묘갈명 18편, 권28·29는 묘지명 32편, 권30은 묘표 16편, 권31·32는 행장 19편, 권33은 시장(諡狀) 8편, 권34·35는 가장 6편, 권36은 독역잡기(讀易雜記)이 수록되어 있다.
권37은 춘추비고(春秋備考), 권38은 전중복참고(傳重服斬考), 권39는 강서문답(講書問答), 권40·41은 정로(訂老), 권42·43은 가언(家言), 권44는 부편(附編)으로 저자에 대한 가장 1편, 신도비명·묘지명이 각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천집≫은 많은 부분이 경학(經學), 특히 주자학에 대한 연구와 시문에 대한 견해들로 이루어져 있고, 노자의 ≪도덕경 道德經≫ 중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고 자기의 생각을 덧붙인 <정로>와 경서·사서·성리서 등을 강론하고 문답한 <강서문답>은 그의 경학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밖에 권13∼15의 <초계고식>의 내용들도 성리학자로서의 저자의 태도를 잘 보여주고 있는 글들이다.
시문에 대하여 남다른 관심을 가졌던 홍석주는 <답김평중논문서 答金平仲論文書> 등의 편지와 <의고시서 擬古詩序>·<현암유고서 玄巖遺稿序>등의 글에서 그의 독특한 문학관을 나타내고 있다.
≪연천집≫은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이본으로는 서울대학교본과 연세대학교본이 있으며, 이 두 본에는 시가 생략되고 실리지 않은 반면에 규장각도서에 없는 <기리경 記里經>·<삼한명신찬 三漢名臣贊>·<휘사소찬 彙史小贊>·<홍씨독서록 洪氏讀書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1984년오성사(旿晟社)에서 ≪연천전서≫를 영인하였고, 연천에 관한 모든 자료들을 수집하여 시문집 5책, 기타 저서 2책으로 구성하고 있다.
'사진갤러리 > 풍산홍씨선조님 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롱을첨(縹礱乙㡨)-19世홍길주(洪吉周) (0) | 2018.08.07 |
---|---|
현수갑고(峴首甲藁)-19세 홍길주(洪吉周) (0) | 2018.08.07 |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16世 홍양호( 洪良浩) (0) | 2018.08.07 |
한중록(閑中錄)-17世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0) | 2018.08.07 |
순오지(旬五志)-13世 홍만종( 洪萬宗) (0) | 2018.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