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학자 홍석주(洪奭周, 1774∼1842)가 『예기집설』에 의문을 품은 항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리한 예서. 6권 3책. 필사본(인찰공책지). 일본 오사카 부립 나카노시마도서관 소장.
본관은 풍산. 초명은 호기. 자는 성백, 호는 연천.
조부는 영의정 홍낙성(洪樂性)이며, 부는 우부승지 홍인모(洪仁謨)이고, 약관에 모시(毛詩)·경례(經禮)·자사(子史)·육예백가(六藝百家)의 글을 모두 읽어 일가를 이루었고, 한번 읽은 글은 평생 기억할 정도로 총명해 동료들이 감탄하였다.
1795년 전강에서 수석을 하여 직부전시의 특전을 받았고, 그해 문과에 급제하여 직장·검열 등을 역임하고 1802년 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후 성천부사·이조참의·병조참판·충청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양관대제학·이조판서를 역임했다.
1834년에는 좌의정으로 세손의 사부가 되어 헌종과 인연을 맺었고, 안동김씨 세력의 주변적 신료로서 세도정국에 참여했고 순조가 죽은 후 풍양조씨와 세력을 다투어 안동김씨 세도정권의 일익을 담당했다.
1836년 남응중의 모반에 연루되어 김로(金路)의 탄핵을 받고 삭직되었다가 1839년 복직하여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학통상으로 노론 계열인 김창협(金昌協)·김원행(金元行)을 이었으며,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고염무(顧炎武)의 학문에 영향을 받았고, 실학·무실을 주안으로 하는 박학을 강조했으나, 고증학에서 의리를 뒤로 미루는 것은 폐단이라고 비판하면서 주자학의 원칙을 지켜야 함을 주장했다.
주자학설의 인식방법에서도 현상을 통해 본질을 추구한다는 역추·추리의 방법을 취했다.
특히 〈상서 尙書〉 연구에 힘을 기울여 성선설과 인물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군주와 소인이 선험적으로 구분된다는 인간론을 강조했고, 이런 논리 위에서 봉건사회의 위기상황도 기존의 세력권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부분적인 제도의 변통 및 능력 본위의 신료 선발로 해결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신권중심정치론으로 나타났다.
홍석주가 말년에 진호의 『예기집설(禮記集說)』에 의문을 품고 십수 년 동안 연구하여 자신의 견해를 정리해서 펴낸 책으로, 『예기집설』의 편성을 따르지 않고 6권으로 분류하여, 최소한의 형식을 갖추고서 자신의 견해를 논증하는 방식을 택했다.
홍석주는 어렸을 때 받은 사서(四書)와 시 삼백(詩三百) 편의 주자(朱子)의 전주(傳註)와 상서(尙書) 채씨전(蔡氏傳)이 마음에 흡족하지 못했고, 조금 성장해서 접한 소대씨기(小戴氏記)와 진호(陳澔, 1261~1341)의 『예기집설』도 그 소루함과 흠결을 애석하게 여겼다. 관각을 출입하면서 주소(注疏) 이하 제유(諸儒)의 설을 반복해 궁구한 그는 『상서보전(尙書補傳)』을 지은 후에, 십수 년 동안 예를 연구하여 이 책을 완성하였다.
홍석주는 『예기집설』이 본래 30권이었으나, 그 뒤 10권으로 합병되기도 한 편성을 따르지 않고 모두 6권으로 나누었다.
권1에는 곡례·단궁·왕제, 권2에 월령·증자문·문왕세자·예운·예기, 권3에 교특생·내칙·옥조·명당위·상복소기, 권4에 대전·소의·학기·악기·잡기, 권5에 상대기·제법·제의·제통·경해·애공문·중니연거·공자한거·방기, 권6에 표기·치의·분상·문상·복문·간전·삼년문·심의·투호·유행·관의·혼의·향음주의·사의·연의·빙의·상복사제 등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에는 독례(讀禮)라는 항목이 있는데, 예의 본질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이다.
『예기』는 전국시대부터 한나라 초기까지의 유가들이 고대부터 그 당시까지의 많은 예제를 모아서 이를 해석하고 편집한 예서로, 한나라 선제 때 대성(戴聖)이 편찬한 『소대례기(小戴禮記)』를 가리킨다.
『예기집설지의』는 서두에 1838년 9월에 쓴 서문이 붙어있고, 본문의 내용은 최소한의 형식을 갖추고서 자신의 견해를 논증하는 형태이다.
권1의 「곡례」를 예로 들면, 처음에는 진씨의 해석에 의문을 품은 부분의 『예기』의 경문을 먼저 기록하고, 이어서 그에 대한 진씨의 해석을 ‘진씨위(陳氏謂)’라 하여 약술한 다음에, 홍석주 자신의 견해를 ‘여위(余謂)’를 시작으로 서술하였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단락은 ‘군자의 행례는 변속(變俗)을 구하지 않는다.’는 문구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실었다.
다음 단락도 『예기』의 경문을 싣고 이어서 ‘진씨집설위(陳氏集說謂)’라 시작하여 진호의 설을 기록하고서, ‘절공미연(窃恐未然)’이라 하여 진호의 해석이 옳지 않음을 바로 지적하고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였다. 이어지는 단락은 진씨집설에서 해석하는 곡례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데, 말미에는 세주로 ‘이하독대기속지의(以下讀戴記續志疑)’라 썼다. 이 단락과 다음 단락은 『대례기』를 읽고서 논의를 전개해 이 지의에 이어붙인 것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홍석주는 『예기집설』을 주자 경학의 적전으로 보기는 하지만, 그에 나타나는 의문이나 문제점을 짚어가면서 관련 논의를 형식에 구애하지 않고 보충해 나가는 방식을 취하였다.
'사진갤러리 > 풍산홍씨선조님 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秋史 )-18世祖 홍경모 (0) | 2018.08.23 |
---|---|
학해(學海)-19世祖 홍석주 (0) | 2018.08.23 |
상서보전(尙書補傳)19世祖 홍석주 (0) | 2018.08.23 |
익익재만록(翼翼齋漫錄)-16世祖 홍봉한 (0) | 2018.08.23 |
복수쌍회(福壽雙會)-19世祖 홍석주 (0) | 201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