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홍석주(洪奭周, 1774∼1842)가 정리한 필사본 문집. 불분권(不分卷) 17책. 필사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본관은 풍산. 초명은 호기. 자는 성백, 호는 연천.
조부는 영의정 홍낙성(洪樂性)이며, 부는 우부승지 홍인모(洪仁謨)이고, 약관에 모시(毛詩)·경례(經禮)·자사(子史)·육예백가(六藝百家)의 글을 모두 읽어 일가를 이루었고, 한번 읽은 글은 평생 기억할 정도로 총명해 동료들이 감탄하였다.
1795년 전강에서 수석을 하여 직부전시의 특전을 받았고, 그해 문과에 급제하여 직장·검열 등을 역임하고 1802년 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후 성천부사·이조참의·병조참판·충청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양관대제학·이조판서를 역임했다.
1834년에는 좌의정으로 세손의 사부가 되어 헌종과 인연을 맺었고, 안동김씨 세력의 주변적 신료로서 세도정국에 참여했고 순조가 죽은 후 풍양조씨와 세력을 다투어 안동김씨 세도정권의 일익을 담당했다.
1836년 남응중의 모반에 연루되어 김로(金路)의 탄핵을 받고 삭직되었다가 1839년 복직하여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학통상으로 노론 계열인 김창협(金昌協)·김원행(金元行)을 이었으며,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고염무(顧炎武)의 학문에 영향을 받았고, 실학·무실을 주안으로 하는 박학을 강조했으나, 고증학에서 의리를 뒤로 미루는 것은 폐단이라고 비판하면서 주자학의 원칙을 지켜야 함을 주장했다.
주자학설의 인식방법에서도 현상을 통해 본질을 추구한다는 역추·추리의 방법을 취했다.
특히 〈상서 尙書〉 연구에 힘을 기울여 성선설과 인물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군주와 소인이 선험적으로 구분된다는 인간론을 강조했고, 이런 논리 위에서 봉건사회의 위기상황도 기존의 세력권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부분적인 제도의 변통 및 능력 본위의 신료 선발로 해결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신권중심정치론으로 나타났다.
홍석주가 작성한 글들을 베껴 놓은 초고(草稿)로, 향후 문집의 편찬·간행에 대비해서 만든 자료집으로 추정되고, 글의 해석 방향을 판단한 내용이 실려 있고 첨삭(添削)이 가해진 곳도 있는 것으로 볼 때, 홍석주가 직접 자신의 글을 정리한 것으로 보이고, 시기에 따라 저술을 정리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문집에서 보이는 문체별 분류는 본서에 잘 드러나지 않는다.
대체적으로 볼 때, 제1∼6책에는 역사와 경학(經學)에 관한 단독 저술과 논설, 독서기(讀書記) 등의 비중이 높은 반면, 7∼15책에는 문학이론과 서간, 서(序)·발(跋)·기(記) 등의 문학 저술이 많이 실려 있고, 16∼17책에는 가장·행장과 묘표(墓表)·묘갈(墓碣)·묘지(墓誌)·신도비문(神道碑文) 등의 묘도문자들이 수록되어 있다.
본서에 수록된 글들의 작성 시기를 고려할 때, 제1책에서 15책까지는 저자가 1787년부터 1838년 사이에 수시로 필사해서 정리한 것으로 보이고, 제16∼17책은 15책까지의 정리를 마친 1838년 이후부터 1841년경 사이에 그때까지 지은 가장(家狀)·행장(行狀)과 묘도문자(墓道文字)들을 따로 모아서 베껴 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제3책과 4책은 수록된 글의 작성 시기를 볼 때 순서가 바뀐 것으로 보이고, 제8책과 14∼15책에는 ‘추록(追錄)’이라고 표시된 글들이 있는데, 이는 작성 당시 바로 기록한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난 후에 발견하여 추가로 기록했음을 의미하고, 이런 모습들은 본서의 작성 연도 순 배열이 완전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본서에 실린 주요 저술로는 「대역상전(大易象傳)」·「휘사정편소목록술(彙史正編小目錄述)」·「명사관견(明史管見)」·「속명사관견(續明史管見)」·「독역잡기(讀易雜記)」·「휘사소찬(彙史小贊)」 등이 있다.
모두 역사와 역학(易學)에 관한 것이어서 저자가 이 분야의 연구에 주력했음을 알 수 있다.
이밖에 「원시(原詩)」는 율시(律詩)보다는 고체(古體)를 존숭했던 홍석주의 시관(詩觀)이 피력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관자(管子)』·『순자(荀子)』·『안자(晏子)』·『열자(列子)』 등 32종에 달하는 제자서(諸子書)에 대한 독서기는 홍석주의 독서 범위가 매우 넓었음을 잘 보여준다.
『학해』는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총 분량 17권의 필사본 문집으로, 저자는 홍석주인 것으로 보이고, 문집 전체가 거의 같은 필체로 되어 있어 이를 짐작할 수 있다.
『학해』에는 연천이 지은 독립된 저술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어떤 글에는 추록追錄 혹은 추기追記한다고 부기되어 있어 완전한 편집본은 아니며, 작품들을 보면 시는 없고 산문만 실려 있고, 대부분의 작품들은 시대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학해』에는 다른 연천문집에는 실려 있지 않은 작품들이 여러 편 들어있고. 시대 순으로 되어 있어 『학해』를 통해 연천의 작품 창작 시기를 어렴풋이나마 판단할 수 있다.
『학해』에는 많은 수정 표시가 있고. 수정 표시는 글자 왼쪽에 ‘◦’를 표시하고 오른쪽에 낙자落字를 추록追錄하는 방법, 글자 위에 ‘○’을 진하게 표시하거나 먹으로 지우고 오른쪽에 해당 글자나 문장을 추록하는 방법, 첨지에 추가할 내용을 기록하여 붙이는 방법, 문장 끝에 작은 글씨로 “금안今按”이라 쓰고 자신의 견해를 기록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삭제 표시인 경우, 글자 위에 ‘○’을 진하게 표시하는 방법, 해당 구절을 ‘□’로 둘러싸는 방법, 삭제할 부분의 처음에 ‘ㄱ’ 표시를 하고 끝에 ‘ㄴ’ 표시를 하여 해당 부분 전체를 삭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학해』 제1책의 「대역상전大易象箋」의 경우, 작성된 글에 하나하나 “우선 기록해 둔다[姑存之]”, “우선 이렇게 풀이한다[姑解之如此]”, “뺀다[兌]”, “일단 삭제하지 않는다[姑不刪]”와 같은 부기를 해 놓았고, 이런 기록들도 연천 자신이 남겨놓은 것으로 판단된다.
『학해』에서 역사비평에 관한 작품들이 거의 대부분 삭제되었고, 이는 역사 평가에 대해 신중했던 연천의 입장이 잘 반영되어 있다.
『학해』 16책과 17책에 집중적으로 기록된 묘도墓道문자의 경우에는 삭제된 작품이 거의 없다. 묘도문자를 대하는 연천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학해』는 연천이 직접 기록하였고, 후에 홍현주와 한장석이 연천의 문집을 만들 때 이 책을 중심으로 시작했다.
『학해』와 같은 문집 형태는 문헌학적으로도 매우 희귀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18∼19세기를 대표하는 학자의 한 사람인 홍석주의 학문과 사상을 담고 있는 저술로, 저자 개인뿐만 아니라 19세기 사상계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저자 자신이 직접 정리한 초고본이라는 점에서 홍석주의 사상적 경향을 가장 생생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사진갤러리 > 풍산홍씨선조님 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석외사(耘石外史)-18世祖홍경모 (0) | 2018.08.23 |
---|---|
추사(秋史 )-18世祖 홍경모 (0) | 2018.08.23 |
예기집설지의(禮記集說志疑)-19世祖 홍석주 (0) | 2018.08.23 |
상서보전(尙書補傳)19世祖 홍석주 (0) | 2018.08.23 |
익익재만록(翼翼齋漫錄)-16世祖 홍봉한 (0) | 2018.08.23 |